 |
공저자 윤 기
전) 목포공생원 원장
공생복지재단 회장
- 1942년 목포 출생
- 중앙신학교(現 강남대학교) 사회사업학과를 졸
- 아동복지시설「목포공생원」의 원장
- 정신지체장애인시설「공생재활원」을 설립
- 한국사회복지사협회 부회장‧회장(1987年~2001年)을 역임
- 1989년 일본 최초의 재일동포를 위한 노인복지시설「고향의 집」을 건립
- 1978년 제22회 소파상등 수상다수
- 현재 일본 사회복지법인「마음의 가족」이사장
- 저서는《김치와 우메보시》, 역서는《괴짜총리 고이즈미, 흔들리는 일본》 《고령사회 이렇게 살아보세》가 있다.
|
공저자 윤문지(타우치 후미애)
공생복지재단 이사장
-1949년 일본 오사카 출생
- 쿄토 도시샤(同志社)대학 사회복지학과를 졸
- 1972년, 한국 목포로 건너와 목포공생원 생활지도원 역임
- 현재 일본 사회복지법인「마음의 가족」 이사, 사회복지법인 윤학
자공생재단 이사, 사회복지법인 공생복지재단 이사장으로 활동,
-제3회 여성휴먼다큐멘터리 대상에《양이 한 마리》로 입선
- 1982년《나도 고아였다》로 일본 크리스천신문 제5회 아카시문학상 최우수상을 수상
그렇다. 어머니는 자신이 일본인이란 사실을 잊고 있었던 것이다. 어머니는 갑자기 뒤통수를 얻어맞은 것같이 얼떨떨한 느낌이었다.
김 주사는 다음과 같은 제안을 했다.
“사모님께는 죄송합니다만, 누군가 대리를 부탁할 분 없겠습니까? 목사 같은 직위에 계신 분을 내세우면 미국 원조도 가능합니다.”
목사라면 남편이 구금됐을 때 석방 운동을 벌여주신 분들도 있고 예부터 친분을 가져온 분들도 여러분 계셨다. 그러나 용단이 내려지지 않았다.
“잘 생각해 보시고 다시 한번 들르십시오.”
목포 시청에서 새로운 문제에 부딪힌 어머니는 말없이 시청을 나왔다.
대리 원장! 어머니는 남편 이외의 공생원 원장이란 생각할 수가 없었다.
무거운 발을 끌다시피 하여 고개를 내려오면서 중얼거려 보았다.
“대리 원장?”
서러운 감정에 당장이라도 눈물이 솟구칠 것 같았다. 무력한 자신이 한없이 슬퍼졌다. 남편이 돌아오면 뭐라고 말해야 좋을까?
공생원의 숙사가 내려다보이는 고갯마루에 선 채 아득히 펼쳐진 바다를 바라보는 어머니의 발길은 좀처럼 움직일 줄 몰랐다.
어머니의 결단
그날 밤 아이들이 취침에 들 무렵 어머니는 등잔불 밑에서 옷을 깁고 있었다. 어머니의 곁에 있는 것만으로 나는 왠지 마음이 편해 왔다.
“어머니 큰일 났어요.”
옥순이가 뛰어 들어오며 말했다. 우뚝 선 채 겁먹은 눈으로 어머니를 보았다.
“무슨 일이지?”
“어제 들어온 아기가 이상한 것 같아요. 빨리 가보세요.”
영아들 방은 어머니 방과 바로 이웃해 있었다.
어머니는 갓난아기의 이마에 손을 얹어보았다.
“열이 있구나. 폐렴은 아닌지 모르겠구나. 어쩌지?”
“폐렴이요? 이런 갓난아기도 폐렴에 걸려요, 어머니?”
옥순이는 별스레 신기해했다. 어딘지 모자라게 느껴지는 말투였다. 하지만 그것도 무리가 아닌 것이 그녀는 이제 겨우 열다섯의 소녀였기 때문이다.
“오늘 밤만 잘 넘겨주면 좋겠는데. 옥순아, 수고스럽지만 우물에서 물 좀 떠오렴. 그리고 수건도 가져다 다오.”
남자들 틈에서 자란 옥순은 다분히 머슴애 같은 기질이 많았다. 왔다 갔다 하며 부산을 떨었다. 갓난아기의 손발은 마치 원숭이의 그것처럼 작고 가늘었다. 영양실조였다. 울 기력조차 없어 보여 보는 사람을 더욱 안쓰럽게 했다. 태어난 지 며칠 안 된 작은 생명은 이튿날 새벽, 어머니가 밤새워 간호한 보람도 없이 숨을 거두고 말았다.
이름도 없었다. 자신을 낳아준 엄마의 품속에서 마음껏 젖을 빨며 잠들고 싶었을 텐데…. 엄마의 사랑을 단 하루도 받아보지 못한 가련한 아기였다. 제대로 울어보지도 못하고 소리 없이 하늘나라로 떠나버린 것이다.
어머니는 아가의 옷을 벗겨 몸을 닦아낸 후 흰 천으로 조심스럽게 감싸서 자신의 방에 눕혀놓고 하룻밤을 지냈다.
“어머니, 죽은 아기와 함께 자는 게 무섭지 않으세요?”
나는 호흡을 멈춘 생물에 알지 못할 공포를 느끼던 터라 시체 옆에서 주무시는 어머니에게 희미한 비난의 뜻을 담아 물었다.
“죽은 아기가 왜 무섭니? 무섭지 않단다. 엄마는 하룻밤이라도 아기 곁에 함께 있어 주고 싶어 그러는 거야.”
어머니는 이미 거무스름하게 굳어진 아기의 얼굴을 내려다보며 산 사람에게 속삭이듯 말했다.
“아가, 이 세상에서 제일 험한 것만 보고 하늘나라에 가는구나. 하지만 이 세상에는 그런 험한 세상만 있는 건 아니란다. 따뜻한 인정과 사랑이 넘치는 아름다운 세상도 있단다. 엄마 젖도 한번 먹어보지 못하고 하늘나라로 간 불쌍한 아가야. 오늘 밤만이라도 편히 잠들 거라.”
가엾은 아기의 시체는 어머니에게 용단을 내리게 했다. 어머니는 김 주사의 요청대로 대리 원장을 수락하여 기아로부터 어린 고아들을 지켜야겠다고 결심했다. 그 외에 다른 방도가 없었다.
이튿날 어머니는 교회의 사 목사님을 찾아뵈었다.
“부인, 안심하십시오. 다행히 시청엔 친구가 많으니 제가 부탁하면 들어줄 겁니다.”
사 목사의 자신 있는 목소리에 어머니는 다소 마음이 놓였다.
“저는 목사님만 믿고 있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