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저자 윤 기
전) 목포공생원 원장
공생복지재단 회장
- 1942년 목포 출생
- 중앙신학교(現 강남대학교) 사회사업학과를 졸
- 아동복지시설「목포공생원」의 원장
- 정신지체장애인시설「공생재활원」을 설립
- 한국사회복지사협회 부회장‧회장(1987年~2001年)을 역임
- 1989년 일본 최초의 재일동포를 위한 노인복지시설「고향의 집」을 건립
- 1978년 제22회 소파상등 수상다수
- 현재 일본 사회복지법인「마음의 가족」이사장
- 저서는《김치와 우메보시》, 역서는《괴짜총리 고이즈미, 흔들리는 일본》 《고령사회 이렇게 살아보세》가 있다.
공저자 윤문지(타우치 후미애)
공생복지재단 이사장
-1949년 일본 오사카 출생
- 쿄토 도시샤(同志社)대학 사회복지학과를 졸
- 1972년, 한국 목포로 건너와 목포공생원 생활지도원 역임
- 현재 일본 사회복지법인「마음의 가족」 이사, 사회복지법인 윤학
자공생재단 이사, 사회복지법인 공생복지재단 이사장으로 활동,
-제3회 여성휴먼다큐멘터리 대상에《양이 한 마리》로 입선
- 1982년《나도 고아였다》로 일본 크리스천신문 제5회 아카시문학상 최우수상을 수상
|
[11회] 이산(離散)
여관 주인의 호의로 일주일을 투숙한 어머니는 재균 형의 부축을 받고 공생원으로 돌아왔다.
평소 말이 없으신 어머니였지만 아버지의 신변에 대한 초조감과 슬픔은 어쩔 수 없는 모양이었다. 어머니와 재균형의 이야기를 들은 원생들의 낙심은 말할 것도 없었다.
아버지에 관한 소문은 각양각색으로 떠돌았다. 부산에서 봤다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군산에서, 또 서울에서 봤다는 사람도 있었다. 그때마다 어머니의 가슴은 한없이 동요했다. 당장이라도 그곳에 가 수소문해 보고 싶었다. 하지만 아이들만 남겨두고 갈 수 없는 어머니이기에 안타까움은 더욱 컸다.
공생원에서 복작거리며 사는 대식구는 항상 식량에 쪼들렸다. 어머니로서는 단 한 가지 길밖에 없었다. 직접 식량을 조달하는 것이었다. 돈이 될 만한 물건은 모조리 내다 돈으로 바꾸었다. 결혼 당시, 지금은 고치(高知)에 계신 친정어머니가 보내준 오르간도 처분했다. 의복도 팔았다. 이제 팔 만한 물건은 하나도 남지 않았다. 최후의 방법으로 식솔을 줄이는 수밖에 없었다.
어머니는 80명의 원아들 중 10살 이상의 아이들만 강당에 집합시켰다. 모두 50명이었다.
“여러분, 제 얘길 잘 들으세요. 저는 오늘로 공생원을 해산하고자 합니다. 여러분이 싫어서가 아닙니다. 저는 오늘까지 여러분의 어머니로 살아왔습니다. 그런 제가 여러분더러 나가 달라고 부탁하는 심정이 어떻겠습니까? 우리는 비록 헤어져 살더라도 죽지 않는 한 다시 또 만날 수 있습니다. 여러분은 나이가 있으니 구두닦이를 하든지, 껌팔이를 해서 그럭저럭 살아갈 수가 있습니다. 하지만 여기 남은 어린 동생들은 그럴 수도 없습니다. 그러니 우리 서로 형편이 좋아질 때까지 참고 견딥시다. 물론 밤엔 예전처럼 여기서 함께 자도 좋습니다. 알아들었죠?”
어머니는 아이들의 얼굴을 들여다보며 차근차근 이야기를 계속했다.
“저는 내일부터 리어카를 끌고 시내에 나갈 겁니다. 찬밥이든 더운밥이든 요기가 될 만한 것을 얻어다 아이들에게 먹여야 하기 때문이에요.”
어머니는 다음날부터 실행에 옮겼다. 새벽이면 리어카를 끌고 나가 밤중까지 이 집 저 집을 헤맸다. 그것은 거지의 구걸 바로 그것이었다.
구걸하면서 어머니는 틈틈이 시간을 내어 목포 시청을 찾아가 식량을 원조해 달라고 호소했다.
원조의 조건
그러던 어느 날 사회과의 김 주사(金 主事)가 반가운 소식을 전해 왔다.
“어쩌면 도움이 될지도 모르겠습니다. 원조 신청서를 제출해 보시죠.”
“정말입니까?”
어머니는 난관에 부딪힌 원에 서광이 비치기 시작하는 것처럼 느꼈다. 기대감과 함께 가벼운 흥분이 일었다. 철야 작업으로 서류를 정리하여 이튿날 아침 김 주사에게 들고 갔다.
그는 서류에 눈길을 못 박은 채 난처한 얼굴을 했다.
“왜 그러시죠?”
영문을 몰라 묻는 어머니에게 김 주사는 차마 말하기 거북하다는 태도로 입을 열었다.
“허, 글쎄 이게… 부인, 이 이름으로는 좀….”
“이름이 어쨌다는 거죠?”
그가 뭘 말하려는지 어머니로서는 도무지 짐작 가지 않았다.
“윤 원장이 행방불명된 사실은 목포 시민 백이면 백 사람이 다 알고 있습니다. 본인이 부재중인 상태에서 윤 원장 명의의 서류 신청을 받긴 곤란한데요.”
딴은 그런 것 같았다. 하지만 윤치호가 아니면 대체 누가 공생원을 대표할 수 있다는 건가? 어머니로서는 납득할 수 없었다.
“저….”
어머니는 낮은 목소리로 제의를 했다.
“남편이 돌아올 때까지 제가 대리 원장을 맡으면 안 되겠습니까?”
김 주사는 두 눈을 깜박이며 생각에 잠기더니 난처한 표정을 지었다.
“그러면 지금 부인의 호적은 어떻게 돼 있는지요? 일본인으로는 그게 좀….”
-다음 호에 계속-